생성형AI3 감정과 소통의 AI: 새로운 시대의 시작 AI 대중화 시대 중요한 변혁의 동인으로 ‘창작의 민주화’, ‘추론 비용의 절감’과 함께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의 혁신’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인간과 AI가 소통하기 위한 Text, 음성, 이미지, 영상 등 거의 모든 수단에서 기존의 어떤 기술보다 진보하고 있으며, 이것이 AI와 나와의 관계를 '도구'에서 '동료'로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여전히 많은 오류와 이슈, 걱정거리들이 남아있지만, 하루가 멀다 하고 혁신적인 기능과 서비스들이 쏟아지고 있어 AI와 소통하는 것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그 어느 때 보다 높다 할 수 있습니다. 특히 GPT-4o가 발표되면서 AI와의 소통 방식은 또 한 번의 전환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AI의 감정 표현이 좀더 섬세해졌고, 영상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졌으며, .. 2024. 5. 30. 자연어로 감정까지 코딩하는 시대 AI 개발의 대중화는 코딩 작업 자체가 이전과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쉬워지는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Github 등Code Assistant 도구를 통해 필요한 코드를 AI가 만들어주고, 테스트하거나, 버그 등 수정이 필요한 내용을 제안하는 자동화 혁신이 이미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제는 코딩 자체가 자연어로 대체되며 기존의 복잡한 알고리즘 구현이 필요 없어지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지금부터 여러분이 ‘개발자’가 되었고, 지진 등의 재난 상황을 알리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단, ‘사실’ 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감정’까지 전달해야 합니다. 지진 상황을 알리는 일본 아나운서 처럼 ‘긴박한 목소리로 촉구하든 "지금 당장 도망쳐!!!!.. 2024. 5. 12. 프로그래머 vs. 시민개발자: AI 시대의 직업 전쟁 최근 IDC는, 생성형 AI가 monetizing 측면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영역이 ‘개발’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생성형 AI의 활용으로 글쓰기나 디자인 영역에서 다양한 버즈가 발생하고 있지만, 비즈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산성의 변화는 ‘개발 환경의 자동화’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요 이러한 변화 속에서 부각되는 흥미로운 관점은 ‘AI의 민주화’입니다. 수년 전 노코드(No-code), 로우코드(Low-code) 개념이 등장하면서 일반인들도 손쉽게 프로그램을 만드는 ‘개발의 대중화’ 여건이 조성되었는데요, 생성형 AI는 여기에 한발 앞서 이전에 개발자들도 감히(?) 건드리지 않았던 ‘AI 기술의 대중화’를 실현시키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만의 리그였던 AI가 대중의 품에 안.. 2024. 5. 7. 이전 1 다음 반응형